방울이, 그동안 수고했어
서울동물원의 바다사자 방울이가 은퇴하며 서울동물원의 동물쇼가 폐지됐다.
물론 동물 복지적인 측면보다는 불가피한 방울이의 건강 상의 이유로 폐지된 것은 다소 아쉽지만, 어쨌든 추가로 다른 동물을 조련해 쇼를 운영할 계획이 아니므로 이는 두 팔 벌려 환영할 일이다. 한국 사회의 동물에 대한 인식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내가 고등학교 1학년에 다닐 때, 가정 환경 조사인가 뭐 이런 게 있었다. 부모님의 직업과 학력 등을 써서 제출하는 것이다(지금 생각하면 정말 황당한 조사이다). 여기 맨 마지막 란에는 희망 직업을 적는 공간이 있는데, 당시 나는 조련사라 적었다. 사실 딱 찝어서 조련사를 하려고 했던 것은 아니었다. 동물이 좋아서 동물을 상대하는 직업 갖고 싶어서 수의사, 조련사, 사육사 이 셋을 내 미래 직업으로 상정해 놓은 상태였다. 다만 그 가정조사인가 뭔가를 쓰기 전 날 무슨 이유에서 인지 조련사를 썼던 것 뿐이었다.
그거를 제출하고 나선 며칠 후 종례 시간에 담임 선생님은 50명에 이르는 반 아이들 희망 직업을 이름과 함께 발표하는 것이다(도대체 이런 것도 왜 했는지 모르겠다). 내 기억으로 20명 정도는 엔지니어, 과학자를 써냈고 20명 정도는 의사 등 전문직을 써냈다.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든다. 지금 아이들은 뭐라 써낼까? 내가 고등학생이었을 때는 그래도 거의 절반에 가까운 애들이 엔지니어, 과학자를 꿈 꿀만큼 '꿈'을 갖고 있었던 시기였다. 요즘은 연예인? 의사? 교사? 아니면 황당하게 재벌? 뭐 이러지 않을까. 아무튼 애나 어른이나 우리는 '꿈'을 상실한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어쨌든 그 날 담임 선생님의 발표로 인해 나의 희망 직업은 '아웃팅' 당했고, 반 애들 50명이 내 꿈을 듣고 박장대소했던 기억이 난다. 아마 나름 반에서 공부 좀 한다는 애가 꿈이 의사도 아니고, 심지어 수의사도 아니고 조련사라니! 뭐 이런 것 때문이지 않았을까. 물론, 나는 조련사가 되지 않았다. 그 세 가지 직업 가운데 꼭 조련사를 해야 겠다는 생각이 있지도 않았고, 대학을 가지 않을 용기도 없었다. 그래도 중학생 때 결정한 나의 미래 모습 가운데 하나를 택해 지금까지 살고 있다. 그런 면에서 나는 아주 행복한 사람이다.
수의대에 입학하고 동물 복지 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인 시기가 있었다. 동물 복지/권리를 연구하는 모교 교수의 영향과 동물 관련된 것에는 잡다한 관심을 갖는 나의 호기심 때문이다. 여러 고민도 했고 토론도 했다. 물론 여기에는 동물원과 동물쇼 문제도 들어 간다.
나는 동물원 폐지에 찬성하지 않았다. 빽빽한 빌딩 숲에서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주말에 가족들 데리고 손쉽게 나들이 가서 여가를 보내는 동물원마저 없어지면 너무 잔인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었다. 물론 동물원이 없어지면 좋겠다고 생각했지만 말이다. 그것은 강제로 폐쇄해서 될 문제가 아니라 사람들이 더 이상 야생 동물을 잡아다가 좁은 우리에 가두는 잔인한 동물원을 올 필요가 없어지게 만들어야 하는 문제라 생각했다.
유럽의 한 동물원이 사육하던 코끼리가 죽자 새 코끼리를 들이지 않고 코끼리 우리에 모형을 세워 놓은 일화를 들은 적이 있다. 사람들의 동물에 대한 인식이 발전하면 이런 것들이 자연스레 가능해 질 것이다. 예전에는 갇힌 동물들을 보며 웃고 즐기고, 소리 치고, 과자를 던져 주며 좋아하던 사람이 대부분이었다면, 이제는 그 동물들의 정형행동을 보면서 불쌍하다고 느끼고 안타까워 하며 측은지심을 느끼는 사람이 늘고 있다.
동물쇼도 마찬가지다. 예전에는 돌고래와 침팬지, 물개가 박수치고 점프하는 모습에 신기해하고 환호하던 사람들이 이제는 야생의 행동과 동떨어진 그 부자연스러움에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했다. 1이런 사람들이 많아질 수록 동물원과 동물쇼는 스스로 존재할 이유와 가치를 잃어 버릴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제돌이 방사와 서울동물원 동물쇼 폐지는 아주 기쁜 일이고 동물 복지 측면에서 중요한 한 획을 긋는 일이다.
- 이는 반려동물을 훈련시키는 것과는 다른 것이다. 나는 고양이에게 클리커 트레이닝으로 여러 trick을 가르치는 데 이는 다분히 environmental enrichment 측면에서 필요한 일이고 고양이를 전적으로 실내 사육만 하는 우리나라에서 장려되야 하는 것이다.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