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국내든 해외든 관광을 많이 다닌 것은 아니지만. 나에게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 무엇이냐 물으면 난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샌디에고에서 했던 고래관광이라 답할 것이다. 로마의 콜로세움에서 느낄 수 없었던 감동을, 파리의 에펠탑도 내게 주지 못한 낭만을 느낄 수 있었다. 내가 한 고래관광은 항구에서 여객선을 타고 나가 2시간 동안 Grey Whale, 즉 회색고래[각주:1]를 보고 오는 것이다. 2월은 회색고래들이 남쪽 따듯한 멕시코 인근의 태평양에서 새끼를 낳고 다시 북쪽으로 이동하는 시기다. 그래서 운 좋으면 어미와 새끼를 같이 볼 수도 있다.


그렇다고 다큐멘터리에서 보는 것처럼 가까이서 고래를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동물원에 갇힌 동물이 아니라 그야말로 Mother Earth(이걸 뭐라 표현해야 할지. 어미 자연?)의 품에 있는 살아 있는 야생 상태기 때문에 배가 가까이 가면 깊이 잠수해 버린다. 그래서 가끔 수면 가까이 올라와 숨을 쉴 때 쏟아져 나오는 물 방울을 보며 거기 고래가 있다는 것을 아는 정도다.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가면 노련한 선장은 마이크로 몇 시 방향을 보라 한다. 그러면 저 멀리에서 육안으로 겨우 분간할 수 있는 정도로 작은 분수 기둥이 있다. 고래가 숨 쉬고 있다는 것이다. 갑판에 나와 있는 사람들은 그 모습을 보며 하나같이 "와아아"하면서 감탄한다. 동물원에서 절대 볼 수 없는 살아 숨쉬는 생명의 진귀함이다. 불과 몇 백 미터 밖에 우리와 똑같이 붉은 피를 갖고 있고 새끼에게 젖을 물리는 거대한 생명체가 있다는 사실에 감동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게다가 운이 좋으면 고래의 꼬리 지느러미도, 가슴 지느러미도 볼 수 있다.


물론 아무것도 못 볼 수도 있다. 인간이 보고 싶다 해서 볼 수 있는 야생이 아니기 때문에. 만약 항상 의지대로 볼 수 있다면 그건 야생이 아니다. 누구의 표현처럼 진정한 야생을 체험하는 것은 역설적으로 그 부재를 체험하는 것이다. 그래서 고래관광을 나갈 때 '목숨 걸고' 고래를 봐야 겠다는 생각을 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고래를 본다는 목적보다 고래를 보는 과정이야말로 고래관광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거기서 자연의 위대함과 경이로움을 느끼면 그걸로 충분한 것이다. 


마지막 동물이 숨을 거둘 때, 인간은 영혼의 외로움으로 죽게 될 것이다

인디언 추장 시애틀








  1. 동해에 서식하는 귀신고래와 같은 종이다. 다만 다른 아종이다 [본문으로]

'동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의 '노킬' 동물복지  (0) 2013.11.02
방울이의 은퇴를 축하하며  (0) 2013.11.02
제돌이 방사  (0) 2013.07.23
다람쥐  (0) 2013.05.31
횟집 고양이  (0) 2013.05.31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609501.html?_fr=mt2


정말 요즘 표현으로 위엄 쩐다. 클라스가 틀리다. 선진국은 정말 달라도 많이 다르구나. 정말 한국은 멀었구나. 독일의 수의사는 얼마나 즐거울까. 뭐 이런 생각이 든다.


오래토록 다시 읽고 싶어 저장한다. 정말 감동적이다. 

'동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래 관광  (0) 2014.09.18
방울이의 은퇴를 축하하며  (0) 2013.11.02
제돌이 방사  (0) 2013.07.23
다람쥐  (0) 2013.05.31
횟집 고양이  (0) 2013.05.31

방울이, 그동안 수고했어



서울동물원의 바다사자 방울이가 은퇴하며 서울동물원의 동물쇼가 폐지됐다.


물론 동물 복지적인 측면보다는 불가피한 방울이의 건강 상의 이유로 폐지된 것은 다소 아쉽지만, 어쨌든 추가로 다른 동물을 조련해 쇼를 운영할 계획이 아니므로 이는 두 팔 벌려 환영할 일이다. 한국 사회의 동물에 대한 인식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내가 고등학교 1학년에 다닐 때, 가정 환경 조사인가 뭐 이런 게 있었다. 부모님의 직업과 학력 등을 써서 제출하는 것이다(지금 생각하면 정말 황당한 조사이다). 여기 맨 마지막 란에는 희망 직업을 적는 공간이 있는데, 당시 나는 조련사라 적었다. 사실 딱 찝어서 조련사를 하려고 했던 것은 아니었다. 동물이 좋아서 동물을 상대하는 직업 갖고 싶어서 수의사, 조련사, 사육사 이 셋을 내 미래 직업으로 상정해 놓은 상태였다. 다만 그 가정조사인가 뭔가를 쓰기 전 날 무슨 이유에서 인지 조련사를 썼던 것 뿐이었다.


그거를 제출하고 나선 며칠 후 종례 시간에 담임 선생님은 50명에 이르는 반 아이들 희망 직업을 이름과 함께 발표하는 것이다(도대체 이런 것도 왜 했는지 모르겠다). 내 기억으로 20명 정도는 엔지니어, 과학자를 써냈고 20명 정도는 의사 등 전문직을 써냈다.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든다. 지금 아이들은 뭐라 써낼까? 내가 고등학생이었을 때는 그래도 거의 절반에 가까운 애들이 엔지니어, 과학자를 꿈 꿀만큼 '꿈'을 갖고 있었던 시기였다. 요즘은 연예인? 의사? 교사? 아니면 황당하게 재벌? 뭐 이러지 않을까. 아무튼 애나 어른이나 우리는 '꿈'을 상실한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어쨌든 그 날 담임 선생님의 발표로 인해 나의 희망 직업은 '아웃팅' 당했고, 반 애들 50명이 내 꿈을 듣고 박장대소했던 기억이 난다. 아마 나름 반에서 공부 좀 한다는 애가 꿈이 의사도 아니고, 심지어 수의사도 아니고 조련사라니! 뭐 이런 것 때문이지 않았을까. 물론, 나는 조련사가 되지 않았다. 그 세 가지 직업 가운데 꼭 조련사를 해야 겠다는 생각이 있지도 않았고, 대학을 가지 않을 용기도 없었다. 그래도 중학생 때 결정한 나의 미래 모습 가운데 하나를 택해 지금까지 살고 있다. 그런 면에서 나는 아주 행복한 사람이다.


수의대에 입학하고 동물 복지 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인 시기가 있었다. 동물 복지/권리를 연구하는 모교 교수의 영향과 동물 관련된 것에는 잡다한 관심을 갖는 나의 호기심 때문이다. 여러 고민도 했고 토론도 했다. 물론 여기에는 동물원과 동물쇼 문제도 들어 간다.  


나는 동물원 폐지에 찬성하지 않았다. 빽빽한 빌딩 숲에서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주말에 가족들 데리고 손쉽게 나들이 가서 여가를 보내는 동물원마저 없어지면 너무 잔인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었다. 물론 동물원이 없어지면 좋겠다고 생각했지만 말이다. 그것은 강제로 폐쇄해서 될 문제가 아니라 사람들이 더 이상 야생 동물을 잡아다가 좁은 우리에 가두는 잔인한 동물원을 올 필요가 없어지게 만들어야 하는 문제라 생각했다. 


유럽의 한 동물원이 사육하던 코끼리가 죽자 새 코끼리를 들이지 않고 코끼리 우리에 모형을 세워 놓은 일화를 들은 적이 있다. 사람들의 동물에 대한 인식이 발전하면 이런 것들이 자연스레 가능해 질 것이다. 예전에는 갇힌 동물들을 보며 웃고 즐기고, 소리 치고, 과자를 던져 주며 좋아하던 사람이 대부분이었다면, 이제는 그 동물들의 정형행동을 보면서 불쌍하다고 느끼고 안타까워 하며 측은지심을 느끼는 사람이 늘고 있다. 


동물쇼도 마찬가지다. 예전에는 돌고래와 침팬지, 물개가 박수치고 점프하는 모습에 신기해하고 환호하던 사람들이 이제는 야생의 행동과 동떨어진 그 부자연스러움에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했다.[각주:1] 이런 사람들이 많아질 수록 동물원과 동물쇼는 스스로 존재할 이유와 가치를 잃어 버릴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제돌이 방사와 서울동물원 동물쇼 폐지는 아주 기쁜 일이고 동물 복지 측면에서 중요한 한 획을 긋는 일이다. 




  1. 이는 반려동물을 훈련시키는 것과는 다른 것이다. 나는 고양이에게 클리커 트레이닝으로 여러 trick을 가르치는 데 이는 다분히 environmental enrichment 측면에서 필요한 일이고 고양이를 전적으로 실내 사육만 하는 우리나라에서 장려되야 하는 것이다. [본문으로]

'동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래 관광  (0) 2014.09.18
독일의 '노킬' 동물복지  (0) 2013.11.02
제돌이 방사  (0) 2013.07.23
다람쥐  (0) 2013.05.31
횟집 고양이  (0) 2013.05.31


2013.07.18

제주시


제돌이 방사는 한국 동물보호 역사에서 분명히 역사적인 사건으로 남을 것이다. 투표로 많은 것을 바꿀 수는 없지만 분명 작은 한 걸음은 내딛을 수 있다. 이명박이나 오세훈이 서울 시장이었다면 제돌이는 계속 비좁은 수족관에서 죽을 때까지 묘기를 부렸을 것이다. 

'동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의 '노킬' 동물복지  (0) 2013.11.02
방울이의 은퇴를 축하하며  (0) 2013.11.02
다람쥐  (0) 2013.05.31
횟집 고양이  (0) 2013.05.31
표범 발자국 발견  (0) 2013.04.14

2013.05.22

강원도 두타산


Asiatic Chipmunk, Tamias sibiricus


'동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울이의 은퇴를 축하하며  (0) 2013.11.02
제돌이 방사  (0) 2013.07.23
횟집 고양이  (0) 2013.05.31
표범 발자국 발견  (0) 2013.04.14
How to catch a cat  (0) 2013.03.03

2013.05.21

강원도 망상해수욕장

'동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돌이 방사  (0) 2013.07.23
다람쥐  (0) 2013.05.31
표범 발자국 발견  (0) 2013.04.14
How to catch a cat  (0) 2013.03.03
2  (0) 2013.02.18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582475.html


졸린 눈을 비비며 아침 신문을 보다 깜짝 놀랐다. 그리고 한동안 무척이나 설레였다. 최근 본 가장 흥미롭고 설레인 기사다.


대형 고양이과 동물 가운데 가장 멸종에 근접한 아무르 표범. 불과 100년 전만 해도 한반도 곳곳에서 살았으나 이젠 흔적도 없이 사라진 그 표범의 발자국이 한국에서 발견된 것이다. 간간히 있었던 목격담과는 다르게 매우 신빙성있고, 실질적인 증거로서의 가치가 충분히 있어 보인다. 


아무르 표범(Panthera pardus orientalis)은 표범의 아종으로 현재 러시아 극동 지방에 30~40마리만 생존해 있다. 현재 IUCN redlist에 Critically Endangered로 분류되고 있고, 그 설명에는 very rare subspecies라는 설명이 더해져 있다. 2007년 센서스에서 성체 14~20마리, 새끼 5~6마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정도 개체수면 근친교배로 인한 유전적 취약성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설령 한반도에 표범이 살아있다한들 어떤 큰 의미를 가질지 잘 모르겠다. 


어쨌든 설레인다. 언젠가는 지금 지리산에 반달곰 기십마리가 살 듯이, 표범도 그렇게 됐으면 좋겠다. 그래야 삭막하기 짝이 없는 이 세상이 조금이라도 더 근사해지지 않겠는가. 

'동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람쥐  (0) 2013.05.31
횟집 고양이  (0) 2013.05.31
How to catch a cat  (0) 2013.03.03
2  (0) 2013.02.18
똥고양이  (0) 2012.11.18



'동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람쥐  (0) 2013.05.31
횟집 고양이  (0) 2013.05.31
표범 발자국 발견  (0) 2013.04.14
2  (0) 2013.02.18
똥고양이  (0) 2012.11.18


Homo sapiens

Felis catus


2013.01.24

서울


'동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람쥐  (0) 2013.05.31
횟집 고양이  (0) 2013.05.31
표범 발자국 발견  (0) 2013.04.14
How to catch a cat  (0) 2013.03.03
똥고양이  (0) 2012.11.18



2009.06.05

경상북도 상주

'동물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람쥐  (0) 2013.05.31
횟집 고양이  (0) 2013.05.31
표범 발자국 발견  (0) 2013.04.14
How to catch a cat  (0) 2013.03.03
2  (0) 2013.02.18

+ Recent posts